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Kafka
- aws s3
- zookeeper
- Vision
- grafana
- kubernetes
- java
- docker
- Operating System
- CSV
- PostgreSQL
- Spring
- OS
- helm
- tcp
- CVAT
- Network
- EC2
- log
- MAC address
- Trino
- AWS
- ip
- airflow
- Packet
- Python
- kubeadm
- jvm
- kubectl
- JavaScript
- Today
- Total
목록argocd (2)
JUST WRITE
Helm도 git처럼 diff가 가능하다고?! 요즘 Kubernetes Cluster를 통해 시스템 구성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Kubernetes 개념과 사용법이 복잡하지만 명령어를 통해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하는 Tool이 있습니다. 바로 Helm입니다. Helm을 통해 Kubernets에 Package를 쉽게 배포/관리할 수 있습니다. Helm으로 Package를 배포하면 values.yaml에 있는 값들을 수정하고 배포합니다. upgrade command로 수정한 것을 재배포 가능합니다. $ helm upgrade ... 다만 여러 번 수정을 하다 보면 설정값들이 관리가 안될 수 있습니다. 저도 이런 문제를 겪어서 반영한 히스토리를 알 수 없을까? 차이를 알 수 없을까? 고민하였습니다. 그러다가 ..
ArgoCD UI 헷갈리지 않고 쉽게 접근하기 Kubernetes내 Service를 외부에서 접근하도록 설정하는 가장 쉬운 방식은 NodePort 방법입니다. Service Port를 Control Plane의 Port에 포트포워딩을 통해 접근하게 해주는 방식입니다. service-nodeport-range(default: 30000~32767)내에서 Control Plane의 Port로 포트포워딩이 가능합니다.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spec: type: NodePort selector: app.kubernetes.io/name: MyApp ports: - port: 80 targetPort: 80 nodePort: 30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