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C2
- Trino
- java
- log
- Packet
- kubernetes
- kubeadm
- tcp
- AWS
- grafana
- ip
- jvm
- JavaScript
- PostgreSQL
- CSV
- airflow
- MAC address
- Vision
- Network
- Python
- aws s3
- OS
- helm
- zookeeper
- Operating System
- CVAT
- docker
- Kafka
- kubectl
- Spring
- Today
- Total
목록OS (15)
JUST WRITE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Disk Scheduling Hard Disk에서 원하는 file에 접근하기 시간은 아래 3가지이다. Seek Time Rotational Delay Transfer Time 이 중에서 Seek Time이 차지하는 비중이 제일 크다. Multi-Programing 환경에서 Process에서 file에 접근하려는 요청이 동시에 들어올 수 있다. Disk Queue에서 이러한 요청들을 저장해두고 처리한다. Disk Queue에 들어온 요청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려 한다. First-Come First-Served Scheduling FCFS Scheduling FSFS는 Disk Queue에 들어온..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File Allocation Hard Disk 구조는 아래와 같다. platter -> 실제 Data를 기록하는 자성을 가진 원판 track -> platter의 동심원을 이루는 하나의 영역 sector -> track을 여러 개로 나눈 영역, 일반적으로 setor의 크기는 512 bytes. cylinder -> 모든 platter에서 같은 track 위치의 집합 위에서 sector 여러개를 묶어 block이라고 한다. Hard Disk는 block 단위로 읽고 쓰기 때문에 Block Device라고도 한다. 비어 있는 block들의 모임으로 볼 수도 있어서 pool of free blocks라고도 한다. 운영체..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Page Replacement Demand Paging에서 필요한 Process의 Page를 Backing Store에서 가져온다. Memory에 Page가 Load 되다 보면 Memory가 가득 차게 된다. Memory가 가득 찼을 때, Backing Store에 Page를 몰아내고(Page-out) Page를 몰아내서 얻은 빈 공간에 필요한 Page를 가져온다.(Page-in) 이 때, 공간을 만들기 위해 Backing Store로 간 Page를 Victim Page라 한다. Victim Page I/O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서 기왕이면 변경 사항이 없는 Page를 Vitim Page로 한다. 변경사항이 있게 되..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Virtual Memory Memory 크기는 그렇게 크지 않다. Memory보다 큰 Process를 실행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Virtual Memory를 사용한다. Process의 모든 부분을 Memory에 Load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Load 하는 것이다. Demand Paging 위에서 얘기한 것처럼 Process에서 현재 필요한 부분만 Load 하는 것을 demand Paging이라 한다. Process를 Page 단위로 분할, 그중에서 필요한 Page만 Memory에 Load 하는 것이다. CPU에서 Process 처리 중 Memory에 필요한 Page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Segmentation Paging은 Process를 일정한 크기로 나눠서 Memory에 할당한다. Segmentation은 Process를 논리적 내용을 기반으로 나눠서 Memory에 할당한다. Process를 논리적 내용을 기반으로 나눈 것을 Segment라 한다. Segment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다. Segmentation 역시 MMU(Memory Management Unit)에서 주소 변환을 해준다. 대신 Table은 Segment Table이라고 한다. Address Translation Segmetation도 Paging에서 비슷하게 Logical Address과 Physical Address로 나누어..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Contiguous Memory Allocation External fragmentation 외부 단편화 컴퓨터가 부팅되면서 운영체제가 Memory에 할당된다. 이때, Memory에는 운영체제만 할당되고 나머지는 비어있는 상태이며 비어있는 공간을 hole이라고 한다. 부팅 직후 Memory에 운영체제 외 나머지 비어 있는 hole을 Big single hole이라고 한다. 이후 Process가 생성, 종료되면서 Memory 곳곳에 hole이 생기는데 이러한 상태를 scattered holes라 한다. scattered holes 상태에서 hole들이 불연속 하게 흩여져 있다. 큰 Process가 생성되려고 해도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