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ubeadm
- CVAT
- JavaScript
- tcp
- log
- Network
- jvm
- docker
- Packet
- OS
- EC2
- java
- zookeeper
- Vision
- Python
- AWS
- Spring
- Kafka
- PostgreSQL
- kubernetes
- Trino
- kubectl
- CSV
- aws s3
- Operating System
- MAC address
- helm
- grafana
- ip
- airflow
- Today
- Total
목록ALL (210)
JUST WRITE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Process 동기화 운영체제가 Process 관련해서 하는 일에는 크게 CPU Scheduling과 Process 동기화가 있다. Process에는 Independent Process와 Cooperating Process가 있다. Independent Process는 다른 Process와 아무런 영향 없는 독립적인 Process이다. Cooperating Process는 다른 Process와 영향을 주고받는 Process를 말한다. Process간 영향을 주면서 공유하는 자원에 일관성을 유지 못할 수도 있다. Process 동기화는 Cooperting Process이 실행되면서 공유자원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

Spring Boot Configuration with Jasypt Spring Boot에서 Property 파일(application.properties, application.yml)로 많은 설정을 할 수 있다. Property 파일에 Credintailas, Database 접속 정보 등 중요한 정보도 입력된다. 이런 민간함 정보는 그대로 노출하면 안된다. Jasypt(Java Simplified Encryption)으로 Property 파일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 Jasypt Java Simplified Encryption Jasypt는 암호화에 대한 자세한 지식이 없어도 암호화 기능을 추가하도록 해주는 Java Library이다. 보통 Private data를 Database에 저장할 때 보..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Process 생성 운영체제가 Booting되면서 Memory에 Load되면 최초의 Process를 생성한다. (운영체제마다 다르지만 보통 최초의 Process명 -> init) Process는 다른 Process를 생성한다. 이 때 생성을 하는 Process를 Parent Process, 생성되어진 Process를 Child Process라고 한다. 같은 Parent Process에서 생성된 Process는 Sibling Process라고 한다. Process 생성은 2가지 System call로 생성가능하다. fork -> Parent Process 복사 exec -> 실행 파일을 Memory에 Load PID..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CPU Scheduling Main Memory에 여러 가지 Process가 Load 돼서 CPU는 다수의 Process를 처리해야 한다.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어떤 Process를 먼저 처리할지 계획하는 것을 CPU Scheduling이라 한다. Scheduling 방식을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Preemptive Process가 CPU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도 다른 Process가 강제로 점유할 수 있는 상태 Non-Preemptive I/O나 Interrupt를 제외하고 Process가 CPU를 사용하고 있으면 끝날 때까지 다른 Process가 점유할 수 없는 상태 CPU Scheduling 얼마나 효율..

이번 글에서는 Spring Boot에서 HTTP/2.0 적용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HTTP/2.0은 HTTP/1.1에서 개선된 Protocol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글에서 확인 가능하다. HTTP 1.1 vs HTTP 2.0 HTTP/1.1 HTTP는 1996년에 1.0 버전을 공식적으로 도입하였다.(RFC1945) 1997년에 1.1 버전을 공식적으로 출시하였다. 1.1 버전에 개선과 업데이트는 1999년에 출시하였다.(RFC2616) 개선이 되기는 하였지만 느 developnote-blog.tistory.com Spring Boot HTTP/2.0 적용 Spring Boot에서는 설정값 하나로 HTTP/2.0 적용이 가능하다. server.http2.enabled 값을 true로 변경해주면 된..

이 글은 KOCW 강좌 중 경성대학교 양희재 교수님의 '운영체제' 강의를 정리한 글입니다. Process Main Memory에 Load 된 실행 중인 Program을 Process라고 한다. 다른 말로 task, job이라고도 한다. Process의 상태는 시시각각 변한다. New -> Main Memory에 막 올라온 상태 Ready -> 초기화 완료, 실행할 준비가 된 상태 Running -> CPU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상태 Waiting -> CPU 사용을 다른 Process가 하면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 Terminated -> Process가 종료 Process는 위 사진과 같이 상태가 변하면서 진행이 된다. 실행한 준비가 되면(Ready) CPU에 의해 실행된다.(Running) I/O와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