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ostgreSQL
- airflow
- tcp
- MAC address
- zookeeper
- CSV
- Network
- kubernetes
- ip
- kubeadm
- docker
- Packet
- EC2
- AWS
- helm
- jvm
- grafana
- kubectl
- CVAT
- OS
- Trino
- Operating System
- Python
- log
- JavaScript
- Vision
- java
- Kafka
- Spring
- aws s3
- Today
- Total
목록ALL (210)
JUST WRITE

DNS 체크 Private Network 환경에서 Bare Metal Server를 Kubernetes Cluster를 구성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신경 써야 돼야 할 부분이 많았는데, 그중 하나가 DNS NameServer였다. Private Network 보니 NameServer 역시 별도로 구성된 환경이었다. 해당 포스팅에서 DNS NameServer를 설정하는 것을 정리해 보았다. DNS NameServer DNS NameServer는 Domain주소를 IP로 알려주는 Server이다. local Cache에 찾으려는 Domain의 IP 정보가 없으면 NameServer에 쿼리 하여 알아나게 된다. 보통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서 제공해 주는 DNS를 이용한다...

Control Plane Components Kubernetes Cluster는 최소한 1개 이상의 Worker Node를 가진다. Worker Node에서 Pod를 생성하여 Application을 생성, 운영한다. Control Plane에서 Worker Node와 Node에서 생성한 Pod의 관리한다. Kubernetes Cluster 내에서 일어나는 Event를 체크, 대응하며 Scheduling 등의 역할을 한다. Control Plane인 Component들은 아래와 같다. kube-apiserver etcd kube-scheduler kube-controller-manager cloud-controller-manager kube-apiserver kube-apiserver는 kubernetes..

SFTP 전용 유저 생성 보안상의 이유로 SFTP용 유저를 생성할 미션이 생겼다. 요즘 파일 공유는 Google Cloud, Naver MYBOX 등 다양한 서비스 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사내 내부망에서는 보안 상의 이유로 쓸 수가 없다. 이번에 사내에서 Linux Server를 파일 배포 Server로 활용한다고 하여 원초적인 방법으로 진행하기로 하였다. SFTP 유저를 2개 만들어서 Admin은 Upload, Download가 가능, 일반 User는 Download만 가능하도록 하였다. FileZilla를 이용하여 파일을 Upload, Download 하는 것이다. 일련의 과정을 정리해보려 한다. SFTP용 폴더 생성 먼저 SFTP용 폴더를 하나 만들어 해당 Path에 Admin과 일반 User가 접..

120TB Disk Ext4로 포맷 11개의 Disk를 RAID5로 묶여 있는 120TB Disk를 EXT4로 포맷을 시켜야 되는 미션이 생겼다. 대용량에 RAID5로 구성되어 있는 Disk 포맷은 처음이라 난감했었다. 이번 포스팅에서 한번 정리해보려 한다. Disk 확인 해당 Disk는 xfs 타입이었다. RAID 구성은 아래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dev/md2가 sdm1 ~ sdc1까지 총 11개 Disk를 RAID5로 묶인 것을 알 수 있다. # RAID 구성정보들 확인 $ cat /proc/mdstat Personalities : [raid1] [linear] [multipath] [raid0] [raid6] [raid5] [raid4] [raid10] ... md2 : active rai..

Kafka Broker Log 관리 Kafka에서는 Log를 Topic Partition에 쌓이는 Data를 의미한다. 보통 System에서 Log는 System의 상황 파악을 위해 기록하는 정보이다. Kafka에서도 Broker에서 이런 Log를 기록하고 있다. server, connect, controller, user 등 다양한 Log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Log 설정은 conf/log4j.properties에서 확인할 수 있다. $ cat /kafka/conf/log4j.properties ... log4j.appender.kafkaAppender=org.apache.log4j.DailyRollingFileAppender log4j.appender.kafkaAppender.DatePattern=..

MariaDB 설치 MariaDB는 yum, apt로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Binary를 Download로 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MariaDB Download 공식 홈페이지에서 MariaDB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10.6.9 버전으로 설치를 진행하였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MariaDB Server를 적절한 버전과 OS를 선택하여 다운로드한다. $ wget https://archive.mariadb.org/mariadb-10.6.9/bintar-linux-systemd-x86_64/mariadb-10.6.9-linux-systemd-x86_64.tar.gz $ tar xzf mariadb-10.6.9-linux-systemd-x86_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