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ubernetes
- Packet
- PostgreSQL
- Vision
- java
- ip
- airflow
- aws s3
- CVAT
- Operating System
- Spring
- JavaScript
- AWS
- EC2
- MAC address
- helm
- Kafka
- grafana
- log
- Network
- kubectl
- CSV
- zookeeper
- tcp
- kubeadm
- docker
- Python
- Trino
- jvm
- OS
- Today
- Total
목록Infra (90)
JUST WRITE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yperText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규약 Web Server와 Web Browser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규약 Default Port -> 80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HTTP + SSL(보안 소켓 계층) -> 보안 기능의 추가 데이터 전송 이전에 데이터 암호화를 통해 보안 강화 Default Port -> 443 장점 보안 기능의 강화 온라인 마케팅 -> 검색엔진 최적화(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에서 가산점 가속화 모바일 페이지(AMP, Accelerated Mobile Pages) 만들 때 필요 **참고 (RFC_7540 HyperText Tra..

성능향상, 고가용성을 위해서 Multi Server로 구성하다보면 Session 정합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ticky Session, Session Clustering과 같은 기술이 고안되었다. Sticky Session sticky란 단어는 사전적으로 끈적거리는 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Sticky Session는 특정 사용자가 처음 Request를 처리한 서버에서 계속 Request를 처리하는 방식이다.특정 사용자 - 특정 서버가 끈적한 관계(?)를 가지게 되는 구조이다.Cookie를 이용하거나 IP Tracking 방식을 통해 구현된다. 단점 Load Balancing이 잘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서버로 과부하가 될 수 있다. 해당 서버 fail시 Session..

Load Balancing 부하 분산 서비스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분산, 나눠서 처리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Load Balancing Algorithms Round Robin -> 가장 일반적인 알고리즘, 가중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버 분산. Least Connections -> 가장 접속 수가 적은 서버로 분산, 긴 Session(LDAP, SQL, TSE)에 적합. Least Time -> 응답시간이 빠르고 active인 Connection이 적은 쪽으로 분산. Hash -> Client IP, Clinet URL과 같은 Key를 기준으로 분산. Random with Two Choices -> 임의 2개 서버 선택 후 Least Time 알고리즘 적용하여 분산. URL_..

HA와 RAC는 Database의 고가용성을 위해 고안된 Architecture이다. HA High Availability 2개 서버를 준비하여 하나는 active, 다른 하나는 standby 상태로 세팅한다. 모든 처리를 active인 서버에서 처리한다. standby 상태인 서버는 active 서버가 작동불능상태일때 처리를 한다(failover). 장점 구조가 단순하다. 하나의 서버만 동작하고 있어 유지비가 저렴하다. 단점 서버간 동기화 작업이 필요하다. failover 시 진행 중이던 트랜잭션이 유실된다. -> 트랜잭션이 많은 시스템에 부적합 RAC Real Application Cluster Oracle에서 지원하며, 2개 이상의 인스턴스가 하나의 Storage를 바라보고 있는 구성이다. 모든 인..

이 글은 YouTube 드림코딩 by 엘리의 '서버사이드렌더링'편을 정리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CSR Client Side Rendering Client에서 HTML 렌더링을 진행한다. 아래 처럼 기본적인 HTML을 가져온 다음, JavaScript를 파일을 Server에서 받아 동적으로 HTML 렌더링을 한다. JavaScript에는 Application 로직과 Application에 필요한 Framework, Library의 소스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Application 로직을 수행하면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온다. 해당 데이터와 JavaScirpt 로직을 실행한 것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최종적인 HTML 렌더링을 마친다. 장점 첫 Loading 이후에는 좋은 UX(User Exper..

이 글은 YouTube 드림코딩 by 엘리의 서버사이드렌더링편을 정리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Static Sites 대부분 Web Site가 Static Sites로 구성되었다. Server에 배포된 HTML을 그대로 Web Browser에서 전달하는 방식이었다. Page내에서 Link를 클릭하면 Server에서 해당 HTML를 받아와서 Page 전체가 업데이트 되었다. iframe inline frame의 약자로 Page안에 다른 Page를 넣을 수 있게 해주는 태그이다. iframe 태그를 통해 부분적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되었다. The iframe element : 인라인 프레임 요소 | MDN 요소는 중첩 브라우징 맥락을 나타내는 요소로, 현재 문서 안에 다른 HTML 페이지를 삽입합니다.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