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Trino
- Python
- tcp
- AWS
- log
- Vision
- Spring
- ip
- kubectl
- jvm
- Operating System
- Kafka
- JavaScript
- kubeadm
- Packet
- CSV
- kubernetes
- Network
- grafana
- helm
- PostgreSQL
- OS
- CVAT
- java
- airflow
- MAC address
- zookeeper
- docker
- aws s3
- EC2
													Archives
													
											
												
												- Today
- Total
JUST WRITE
접근 제어자 본문
이 글은 책 자바의 정석의 7장을 정리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접근 제어자
접근 제어자(Access Modifier)는 외부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역할이다.
접근 제어자는 클래스, 멤버변수, 메서드, 생성자에 사용할 수 있다.
접근 제어자는 생략 가능하며, 생략 시 default 상태이다.

| private | 같은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 | 
| default | 같은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 | 
| protected | 같은 패캐지 내 OR 하위 클래스(다른 패키지에 속해도) 에서 접근이 가능 | 
| public | 접근 제한이 없음 | 
접근 제어자를 이용한 캡슐화(Encapsulation)
접근 제어자를 활용하여 외부로부터 클래스 내 데이터를 보호한다.
클래스 내에서만 사용하는 속성, 작업을 클래스 내에 감추기 위해 접근 제어자를 사용한다.
private로 지정하여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다.
제어자의 조합
| 대상 | 사용 가능한 접근 제어자 | 
| 클래스 | public, (default), final, abstract | 
| 메서드 | 모든 접근 제어자, final, abstract, static | 
| 멤버변수 | 모든 접근 제어자, final, static | 
| 지역변수 | final | 
- 메서드에 static과 abstract를 함께 사용할 수 없다.
- static은 구현이 된 메소드에서만 사용 가능.
 
- 클래스에 abstract와 final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 abstract는 상속을 해야 한다는 의미, final은 확장할 수 없다는 의미 -> 상충됨.
 
- abstract 메서드의 접근 제어자가 private일 수 없다.
- abstract 메서드는 하위클래스에서 구현이 되야 하는데 private면 하위클래스에서 접근할 수 없다.
 
- 메서드에 private와 final를 같이 사용할 필요 없다.
- private 메서드는 어차피 오버라이딩이 될 수 없기 때문에.
 
728x90
    
    
  반응형
    
    
    
  'Programing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mmutable Objects (0) | 2021.09.25 | 
|---|---|
| Wrapper Class (0) | 2021.09.24 | 
| Static (0) | 2021.09.24 | 
| OOP (0) | 2021.08.25 | 
| Java 특징 (0) | 2021.08.22 | 
			  Commen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