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CVAT
- PostgreSQL
- AWS
- Vision
- tcp
- Spring
- docker
- Trino
- Network
- Kafka
- jvm
- airflow
- zookeeper
- OS
- aws s3
- kubernetes
- kubectl
- ip
- JavaScript
- EC2
- Python
- kubeadm
- CSV
- helm
- Operating System
- java
- log
- grafana
- Packet
- MAC address
- Today
- Total
JUST WRITE
GET vs POST 본문
HTTP Protocol로 Client에서 Server로 요청할 때 방식을 HTTP 요청 Method(RFC7231_명세)라고 정의합니다.
HTTP Request Message 가장 첫번째 줄에 위치합니다.
GET /dir/page.html HTTP/1.1
GET, HEAD, POST ... 등 다양한 방식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많이 이용되는 GET, POST 두 가지 방식에 대해 정리하려 합니다.
GET
GET 방식은 특정 리소스를 가져오도록 요청하는 메소드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특징인 URL에 Parameter가 포함되어 전송됩니다.
URL 뒤에 '?' 부분부터 Paramter 부분이 시작되고, '&'로 Paramter가 구분됩니다.
https://developnote-blog.tistory.com/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2Fmanage
특징
- 요청정보가 Request 본문이 아닌 URL에 존재
- 요청 정보 전송 제한(URL 포함 255 bytes는 주의, Browser마다 제한 글자 수 다름)
- 요청 정보가 Parameter에 노출되기 때문에 중요 정보라면 GET 방식 부적절
The HTTP protocol does not place any a priori limit on the length of a URI. Servers MUST be able to handle the URI of any resource they serve, and SHOULD be able to handle URIs of unbounded length if they provide GET-based forms that could generate such URIs. A server SHOULD return 414 (Request-URI Too Long) status if a URI is longer than the server can handle (see section 10.4.15).
Note: Servers ought to be cautious about depending on URI lengths above 255 bytes, because some older client or proxy implementations might not properly support these lengths.
- 읽기 전용 Method -> Server 상태를 직접적으로 바꾸지 않는다.
- 캐시 가능(Cacheable, RFC7231_명세)
POST
POST 방식은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데이터 유형은 Content-Type Header로 나타냅니다.
GET 방식과는 다르게 Request BODY 영역에 데이터를 넣어서 보냅니다.
[Header]
POST / HTTP/1.1
Host: foo.com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Content-Length: 13
[Body]
say=Hi&to=Mom
특징
- 요청정보가 Request Body에 있어 길이에 제한 X
- Server에 전송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Server에 변경사항을 만듦.
- 캐시 불가능 -> 가능은 하지만 거의 구현되지 않음.
GET vs POST
항목 | GET | POST |
Request Body 존재 | X | O |
Response Body 존재 | X | O |
안전함 | O | X |
멱등성 | O | X |
캐시 가능 | O | X |
[참고사이트]
GET - HTTP | MDN
HTTP GET 메서드는 특정한 리소스를 가져오도록 요청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POST - HTTP | MDN
HTTP POST 메서드는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요청 본문의 유형은 Content-Type 헤더로 나타냅니다.
developer.mozilla.org
[네트워크]GET 방식과 POST 방식 이란? 차이점
HTTP GET방식과 POST방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HTTP 프로토콜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으로 Web-Client와 Web-Server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khj93.tistory.com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JWT (0) | 2021.12.10 |
---|---|
Synchronous vs Asynchronous (0) | 2021.11.12 |
SSL (0) | 2021.09.18 |
HTTP vs HTTPS (0) | 2021.09.17 |
Session Clustering (0) | 202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