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irflow
- AWS
- kubeadm
- helm
- kubectl
- Vision
- Trino
- JavaScript
- java
- Operating System
- ip
- grafana
- Kafka
- Packet
- MAC address
- PostgreSQL
- Network
- tcp
- kubernetes
- jvm
- CSV
- CVAT
- aws s3
- docker
- Spring
- log
- zookeeper
- Python
- OS
- EC2
- Today
- Total
JUST WRITE
Machine Learning Operations Overview, Definition and Architecture 본문
1. Why this paper?
데이터 거버넌스 관리 솔루션 개발자로 첫 커리어를 시작했습니다.
데이터를 다루다보니 자연스럽게 데이터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데이터 엔지니어로 꿈을 꾸게 되었고 이직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이직 후 처음 접하게 된 MLOps는 엄청나게 크고 낯설게 큰 산 같았습니다.
팀장님의 소개로 알게 된 이 논문이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다시 한번 복기해 보며 MLOps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2. Summary
해당 논문에서는 MLOps의 정의부터 Architecture까지 전반적인 부분에 대해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 MLOps의 정의
- MLOps와 관련된 종사자들의 역할
- MLOps Architecture
- MLOps와 관련된 Tool 소개
MLOps에 대해 A-Z까지 정리할 수 있는 논문입니다.
전문가 Interview와 관련된 Tool의 Review까지 알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을 다 담기에는 방대해 중요 부분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MLOps에 대해 관심 있으신 분은 꼭 읽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3. Detail
3-1. DevOps
이 논문에서는 MLOps는 DevOps를 바탕에 두고 있다고 소개합니다.
DevOps는 개발조직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패러다임 중 하나입니다.
개발과 운영사이에 간격을 줄이고 협력과 커뮤니케이션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아래와 같은 사항들이 요구됩니다.
- CI/CD(Continous Integration, Continous Delivery and Continuous Delopyment)
- 지속적인 Testing, Monitoring, logging, Feedback
- Product Quality 보장
DevOps관련된 제품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Collaboration and Knowledge Sharing -> Slack, Trello
- Source Code Management -> GitHub, GitLab
- Build Process -> Maven
- Continous Integration -> Jenkins, GitLab CI
- Deployment Automation -> Docker, Kubernetes
- Monitroing and Logging -> Prometheus, Logstash
이러한 DevOps의 발전에 기초하여 ML(Machine Learning)의 자동화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3-2. Components
이 논문에서는 MLOps를 9가지의 Component로 나눠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 CI/CD Automation
- Continous Integration, Continous Delivery, Continous Deployment
- build -> test -> delivery -> deploy
- 빠른 피드백/배포 주기를 통해 생산성 향상
- Workflow Orchestration
- ML workflow pipeline coordinate
- DAG -> Task들을 관계, 의존성을 고려하여 순서대로 실행
- Reproducibility
- reprodue ML experiment
- Versioning
- 데이터, 모델, 코드의 Versioning
- Collaboration
- collaboration on data, model, code
- 다른 역할 사이의 Domain Silos 절감
- Continuous ML training & evaluation
- ML model retraining -> based on new feature data
- 모니터링과 자동화 workflow pipeline 통해 실현
- ML Metadata tracking/logging
- 각 training job마다 Metadata tracking 필요
- 예) training 시간, parameters, 결과 metrics, data, code
- Continuous monitoring
- Model and Model Serving 성능 monitoring
- Feedback loops
- Quality 보장을 위해서 loop for development or engineering proess (e.g. feature engineering)
- lopp from monitoring
아래와 같이 Component별로 Tool도 정리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CI/CD Component | build, test, delivery, deploy | Jenkins, GithHub actions |
Souce Code Repository | code storing and versioning | Bitbucket, GitLab, GitHub, Gitea |
Workflow Orchestration Component | workflow orchestration | Airflow, Kubeflow Pipelines, Luigi, AWS SageMaker Pipelines, Azure Pipelines |
Feature Store System | central storage of used features | Google Feast, Amazon AWS Feature Store, Tecton, Hopswork |
Model Training Infrastructure | provide computing resources | Kubernetes, RedHatOpenShift |
Model Registry | centrally the trained ML model and metadata | MLflow, Azure Model Registry, Neptune, Simple storage(Azure Storage, Google Cloud Storage, AWS S3) |
ML Metadata Stores | metadata store, for tracking of various kinds of metadata | Kubeflow Pipelines, AWS SageMaker Pipelines, Azure ML, IBM Watson Studio, MLflow |
Model Serving Component | for predition service(e.g. REST API) | KServing(Kubeflow), TensorFlow Serving, Seldion.io Serving, Azure ML REST API, AWS SageMaker Endpoints, IBM Watson Studio, Google Vertex AI |
Monitoring Component | continous monitoring of the model serving performance | Prometheus, Grafana, ELK Stack, TensorBoard, Kubeflow, MLflow, AWS SageMaker model monitor |
3-3. Role
MLOps에 대해서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이해관계자들이 있는지 알아야 됩니다.
MLOps는 여러 가지 분야에 관계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와 같이 이해관계자들이 어떤 역할을 지내고 있는지 정리하고 있습니다.
- Business Stakeholder
- ML을 통해 어떠한 Business 목표를 이룰 건지 정함.
- Product Owner, Project Manager
- Solution Architect
- 어떠한 기술을 Solution에 적용할 것인지 Architecture 디자인
- Data Scientist
- Business 문제를 ML 문제로 변환
- Model Engineering(Algorithm 선택, Hyperparameter Tunning)
- Data Engineer
- Data Pipeline, feature engineering Pipeline을 설계, 운영
- feature store에 데이터 통합
- Soft Engineer
- ML 문제의 해결방안을 Product에 적용
- DevOps Engineer
- 적절한 CI/CD 구성
- ML Engineer
- ML workflow pipeline 운영, ML 인프라 Monitoring
- 여러 가지 역할(Data Scientist, Data Engineer, DevOps Engineer)을 결합, cross-domain
3-4. Architecture and Workflow
위 그림으로 MLOps의 Workflow를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그림의 상단에서부터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3-4-1. MLOps Project 시작
Business Stakeholder가 ML로 해결할 수 있는 잠재적인 Business 문제를 도출합니다.
Data Scientist가 도출한 Business 문제에서 ML 문제를 고안해 냅니다.
그리고 Data Engineer와 상의해서 고안해 낸 ML 문제에서 어떠한 Data가 필요한지 정리합니다.
어떤 Data Sorce가 필요한지, 어떤 데이터 전처리가 필요한지도 논의합니다.
3-4-2. Feature Engineering Pipeline
Model을 Training 하기 위해서는 raw data가 아닌 feature가 필요합니다.
필요한 feature을 뽑기 위해 Feature Engineering Pipeline을 구성합니다.
먼저 어떻게 데이터 전처리(Transformation, Cleaning)를 할지와 어떤 feature을 뽑을지 Rule을 정합니다.
Data Source로부터 가져와서 전처리 후 feature engineering을 진행합니다.
지속적인 feedback을 통해서 전처리와 feature engineering Rule를 개선합니다.
뽑은 feature는 feature store에 저장합니다.
3-4-3. Experiments
해당 flow에서는 Data Scientist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feature store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며 필요시 처음 들어오는 raw 데이터도 분석합니다.
분석 후 feedback을 통해 추가로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합니다.
모델 학습에 쓰일 데이터를 체크(validation)한 다음 Train, Test 데이터로 나눕니다.
Data Scientist는 최선의 Algorithm을 분석하고 Hyperparameter Tuning을 통해 모델의 성능을 높입니다.
Metric을 분석하여 최선의 Algorithm과 Hyperparameter로 학습한 Model을 저장합니다.
이러한 ML workflow를 위해 DevOps Engineer나 ML Engineer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3-4-4. Automated ML workflow pipeline
DevOps Engineer나 ML Engineer는 자동화된 ML workflow pipeline을 구성하고 운영합니다.
모델 학습에 필요한 인프라(e.g. Hardware or Kubernetes 환경)를 관리합니다.
ML workflow pipeline에는 아래와 같은 component가 필요합니다.
- artifact store
- isolated environment
- workflow orchestration
pipeline의 첫 시작은 feature store에서 version 관리가 되고 있는 feature를 자동으로 가져옵니다.
이후 데이터 체크(validation) 후 Train, Test 데이터 나누는 과정 역시 자동으로 진행됩니다.
이전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새롭게 가져온 데이터(feature)를 추가해 학습합니다.
학습 전에 Algorithm 분석, Hyperparmeter Tuning도 진행합니다.
최선의 성능의 모델이 나오기까지 반복해서 자동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pipeline을 구성합니다.
모델 학습을 하며 진행된 데이터(parameter, metrics 등)는 ML metadata store에 저장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Model lineage라 하며 학습에 쓰인 feature, training code도 포함합니다.
최선의 모델이 학습되었으면 Product에 적용하기 전 model serving build, test를 진행합니다.
Model Serving Application은 주로 cotainer나 REST API로 구성됩니다.
3-4-5. Monitoring
Model Serving 퍼포먼스와 인프라에 대한 Monitoring을 진행합니다.
빠르게 prediction을 개선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Montitoring 합니다.
Montoring component에서 feature pipline, ML pipeline Trigger(schduler)을 구성합니다.
Drift가 일어난다면 Automated ML workflow pipeline을 Trigger해 모델을 retraining 할 수 있도록 합니다.
4. 정리
논문의 마지막에 MLOps에 대해서 정의하는데 제 생각에는 이 한 문장이 적절하게 표현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MLOps is aimed at productionizing machine learning systems by bridging the gap between developemnt(Dev) and operations(Ops).
Machine learning을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 MLOps는 필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논문 덕분에 MLOps에 대해 한걸은 다가갈 수 있었습니다.
이 논문보다 MLOps에 관련된 Tool 포함해서 MLOps에 대해서 A-Z까지 잘 정리된 글이 있을까 싶었습니다.
MLOps에 대해 관심이 있으신 분은 꼭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논문링크]
'Pap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ature Store 필요해?! (0) | 2023.03.07 |
---|---|
IMU 센서를 통한 동작 인식을 위한 Feature engineering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