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 WRITE

IP Address 본문

Network

IP Address

천재보단범재 2022. 3. 12. 23:10

IP Address

IP Address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주소Network Layer(L3)에서 사용하는 논리 주소이다.

대부분의 Network가 TCP/IP로 동작하므로 IP 주소 체계는 중요하다.

주소 체계

흔히 사용하는 IP 주소는 32bit의 IPv4 주소이다.

IPv4, IPv6(128bit) 두 체계가 사용된다.

IPv4는 8bit 단위로 Octet으로 나누어지며 '.'로 구분한다.

IP 주소는 Network 주소와 Host 주소로 나누어진다.

  • Network 주소 -> Host를 모은 Network를 지칭하는 주소
  • Host 주소 -> Network내에서 Host를 구분하는 주소

Network 주소와 Host 주소를 나누는 부분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

Classful

필요한 Host 주소와 Network 크기와 따라 할당하는 Class 개념이 도입되었다.

Class 기반 IP 주소 체계를 Classful이라 한다.

  • Class A -> 1번째 Octet Network 주소, 나머지 Host 주소, 약 1600만 개
  • Class B -> 1~2번째 Octet Network 주소, 나머지 Host 주소, 약 6만 5천 개
  • Class C -> 1~3번째 Octet Network 주소, 4번째 Host 주소, 약 250개

 

 

 

Classful 주소 체계가 도입 당시에는 확장성 있고 주소 낭비가 적었다.

Internet이 상용화되면서 Host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Classful 주소 체계가 감당하기에는 부족했다.

특히 Class A를 할당받은 조직에서 주소들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낭비하였다.

그래서 Classless 주소 체계가 나왔다.

Classless

Classful 주소 체계가 대책으로 아래와 같은 대책들이 나왔다.

  • Classless,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 NAT, 사설 IP
  • IPv6

Classless 주소 체계에서는 IP주소만으로는 Network 주소와 Host 주소를 구분하기 힘들다.

별도로 Network 주소와 Host 주소를 구분하는 데 사용하는 것Subnet Mask라 한다.

Subnet Mask에서 2진수 숫자 1 부분은 Network 주소, 0 부분은 Host 주소이다.

IP 주소에서 Network 주소만 알고 싶을 때 Subnet Mask와 & 연산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연산 - 0이 한 곳이라도 있으면 0이 나온다.)

728x90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blic IP vs Private IP  (0) 2022.03.15
UDP  (0) 2022.03.14
MAC Address  (0) 2022.03.11
Unicast vs Multicast  (0) 2022.03.10
OSI Model  (0) 2022.03.09
Comments